논문상세

심우진, 정태영. 한글 글꼴 용어 2022

2022-12-30

koreantypo / 관리자

다운로드
한글 글꼴 용어 2022
심우진, 정태영

글꼴 용어 연구에서 가장 일찍이 뚜렷한 결과를 남긴 단체는 1979년 결성한 글꼴모임이다. 「한글 글자 표현의 관계 용어」(1982)를 시작으로 이듬해에 「한글글자표현의 용어연구」(1983)를 발표했다. 이후 『한글의 글자표현』(1983), 「통합체계로서의 한글 폰트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1997), 『한글디자인 교과서』(2009), 『타이포그래피 사전』(2012)에 이르기까지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연구도 글꼴모임의 연구를 계승하되, 체계적이지 않은 용어, 외워야 하는 용어, 가리키는 대상이 모호한 용어, 문법적으로 지양할 용어에 한하여 새 용어를 제안하고 용어 체계를 재정립하였다.
체계의 얼개는 기본 용어와 호응 용어 그리고 이를 조합해 사용하는 조합 용어다. 기본 용어는 뼈대 용어와 테두리 용어로 나누고, 뼈대 용어는 긋기(금의 구성과 성격), 쪽자(쪽자의 종류와 분류), 낱글자 용어(낱글자의 모임 방식과 짜임새)로 나누었다. 용어의 수는 기본 용어 23개, 호응 용어 36개, 조합 용어 100개 총 159개로, 「한글 글자 표현의 관계 용어」(1982) 대비 기본 용어 어휘 수를 69.1퍼센트로 줄였다. 연구 유효성을 따지기 위해 네 차례의 설문을 통해 총 69개의 질문과 398개의 답변을 받아 ‘얼마나 외울게 적은가’(1차), ‘얼마나 쉽게 와닿는가’(2차), ‘얼마나 쓰기 편한가’(3차), ‘여전히 애매한 용어는 어떻게 할 것인가’(4차)를 확인하였고 각각의 설문에서 적게는 약 23퍼센트에서 많게는 27퍼센트 가량 기존 용어보다 제안 용어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했다.

A Proposal of Hangul Letterform Glossary ver 2022
Sim Wujin, Jeong Taeyeong
The group that left the earliest clear results in the study of letterform glossary was Geulkkolmoim, which was formed in 1979. Beginning with 「Relational Terminology of Lettering of Haungul」 (1982), the following year, 「Research on Lettering of Haungul in Terminology」 (1983) was published. Since then, it has had a great inuence on 『Lettering of Hangul』(1983),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angul Fonts as an Integrated System」(1997), 『Hangul Design Textbook』(2009), 『Typography Dictionary』(2012). there is.
This study also inherited the research of Geulkkolmoim, but proposed new terms and reestablished the terminology system only for terms that are not systematic, terms that need to be memorized, terms that are ambiguous to refer to, and terms to be grammatically avoide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is a basic term, a response term, and a combination term that is used in combination. Basic terminology is divided into skeleton terminology and outline terminology, and skeleton terminology is divided into Geusgi(composition and character of stroke), Jjokja(type and classification of letter element), and Natgeulja terminology (grouping method and texture of single letter). The number of terms is a total of 159, including 23 basic terms, 36 matching terms, and 100 combined terms.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tudy, a total of 69 questions and 398 answers were received through 4 questionnaires, ‘how much to memorize’ (1st), ‘how easy it is to understand’ (2nd), ‘How easy it is to use’ (3rd), ‘What to do with still ambiguous terms’ (Quarter 4) was confirm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term was preferred over the existing term by 23% to 27% in each survey.

이용약관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본 약관은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이하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이용조건 및 절차, 이용자와 당 사이트의 권리, 의무, 책임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용어의 정의)
본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용자 : 본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
② 가입 :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신청서 양식에 해당 정보를 기입하고, 본 약관에 동의하여 서비스 이용계약을 완료시키는 행위
③ 회원 :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등록을 한 개인(재외국민, 국내거주 외국인 포함)또는 법인으로서 당 사이트의 정보를 제공 받으며,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
④ 아이디(ID) : 회원의 식별과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회원이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설정한 고유의 체계
⑤ 비밀번호 : 이용자와 아이디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통신상의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선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⑥ 탈퇴 : 회원이 이용계약을 종료 시키는 행위
⑦ 본 약관에서 정의하지 않은 용어는 개별서비스에 대한 별도 약관 및 이용규정에서 정의하거나 일반적인 개념에 의합니다.

제3조(약관의 효력과 변경)
① 당 사이트는 귀하가 본 약관 내용에 동의하는 것을 조건으로 귀하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며, 귀하가 본 약관의 내용에 동의하는 경우, 당 사이트의 서비스 제공 행위 및 귀하의 서비스 사용 행위에는 본 약관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② 당 사이트는 본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약관은 당 사이트 내에 공지함으로써 이용자가 직접 확인하도록 할 것입니다. 약관을 변경할 경우에는 적용일자 및 변경사유를 명시하여 당 사이트 내에 그 적용일자 30일 전부터 공지합니다. 약관 변경 공지 후 이용자가 명시적으로 약관 변경에 대한 거부의사를 표시하지 아니하면, 이용자가 약관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용자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용자는 본인의 회원등록을 취소(회원탈퇴)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이하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라고 한다.)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항목, 처리 및 보유 기간 등)

연구원이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하겠습니다.
연구원이 개인정보보호법 제32조에 따라 등록·공개하는 개인정보파일의 처리목적, 항목, 처리 및 보유기간은다음의 항목으로 별도 게시합니다.

제2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연구원은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를 받거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① 정보주체로부터 별도의 동의를 받는 경우
②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거나 법령상 의무를 준수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③ 정보주체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 의사표시를 할 수 없는 상태에 있거나 주소불명 등으로 사전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로서 명백히 정보 주체 또는 제3자의 급박한 생명, 신체, 재산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④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등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써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개인정보를 제공 하는경우
⑤ 개인정보를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아니하면 다른 법률에서 정하는 소관업무를 수행할수 없는 경우로서 보호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친 경우
⑥ 조약, 그 밖의 국제협정의 이행을 위하여 외국정부 또는 국제기구에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⑦ 범죄의 수사와 공소의 제기 및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⑧ 법원의 재판업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⑨ 형(形) 및 감호, 보호처분의 집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